카테고리 없음
무인항공기(Unmanned Aerial Vehicle,UAV) 사이버 보안 사고 사례와 보안 취약성
brent.lee
2015. 10. 11. 19:00
반응형
무인항공기(Unmanned Aerial Vehicle,UAV) 사이버 보안 사고 사례와 보안 취약성
- 서론
- 드론은 항시 개방된 상태의 센서, 무선네트워크 구성, 직렬적 안전성 구조라는 특성 때문에 사이버 보안 공격에 취약함.
- GPS 스푸핑 , 전파 교란(jamming), 데이터와 영상 해킹, 기체 탈취, 바이러스 감염등의 보안 사고 발생
- 보안 사고 사례
- 이란의 미국 RQ-170 무인 정찰기 포획
- 미국 무인기 컴퓨터 바이러스 감염(Keylogger일종)
- 이라크의 미국 무인기 영상 다운로드 해킹(통신링크를 통한 전 방향 영상정보)
- 전파 재밍에 의한 한국 해군 무인기 추락
- 이란의 미국 스캔이글 무인기 포획
- 보안 취약성
- UAS의 구성 요소와 특이점
- UAS 구성 요소
- 주 프로세서와 프로그램 : 센서 데이터 처리, 드론 제어
- 자기계: 방향을 측정
- GPS: 드론의 눈 역할로 위치 결정
- 비행 속도계/고도계
- 드론 무선통신 : GCS와 통신 담당
- 전원 시스템
- 관성 측정장치(IMU): 드론 움직임 측정
- 부트로더 리셋 스위치
- 구동기(actuator) 메인보드로부터 명령을 받아 조종면을 움직임.
- 수동 비행 제어
- 취약점
- UAV통신 링크와 GCS통신 링크간 양방향 정보 흐름 지점.
- 환경 요소에서 센서로의 단방향 정보 흐름 지점
- 공격 지점 : 구동기 신호, 센서 신호(자기계, GPS, 자이로 스코프, ADS-B, 적외선 카메라) , 제어기, 제어 네트워크, C3 (Command, Control, Communication) 과 GCS
- 취약 구성요소 : GPS, ADS-B, Throttle, Elevator, 비행체 컨트롤, C3링크
- 드론의 취약점
-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하나의 노드, 날아다니는 컴퓨터로
- 드론에서 제어와 임무의 목적상 센서, 비디오장치, 통신 채널은 필수 구성요소이며 실시간 송수신해야 하므로 항상 열린 상태임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