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-
Data Mining 정의 와 등장 배경
-
등장 배경
-
기술적요인
-
정보인프라 구축으로 인한 방대한 데이터
-
데이터 베이스를 통한 새로운 지식 창출 가능
-
기계학습기법의 급속한 발전
-
-
기업적 환경요인
-
경쟁력 있는 정보 분석 환경 출현
-
Database Marketing의 지속적인 대두
-
-
-
정의
-
Data Mining: "대용량의 데이터로부터 이들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관계, 패턴, 규칙 등을 탐색하고 찾아내어 모형화함으로써 유용한 지식을 추출하는 일련의 과정들"
-
통계적인 관점: "대용량 데이터에 대한 탐색적 데이터 분석(Exploratory Data Analysis for large amount data)"
-
-
-
Data Mining 부각 이유
-
데이터마이닝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루는 것이 특징인데, 각 기업들의 운영 계에는 이제 분석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용량의 데이터가 축적되고 있다. 실제로 데이터는 유례를 찾을 수 없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, 수백 기가 바이트의 데이터베이스도 이제 흔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.
-
기업들 간의 경쟁이 가중되고 있다. 경쟁에 대한 압력은 기업이 대용량의 데이터에 대하여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데이터 웨어하우징이나 데이터 마이닝과 같은 분야에 대한 투자를 유도하고 있다.
-
-
Data Mining 관련 분야
-
KDD(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s): 지식을 추출하는 전 과정을 의미하며, Data Mining은 KDD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.
-
기계학습(Machine learning):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자동적인 학습 기법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분야.
-
패턴인식(Pattern recognition):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용한 패턴을 찾아내는 다양한 기법을 제공한다.
-
통계학(Statistics): Data Mining의 대부분은 통계학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.
-
뉴로컴퓨팅(Neurocomputing): 신경망등과 관련된 다양한 학문적 배격을 가진 한 분야이다.
-
-
절차에 따른 통계적 기법
-
Data Mining 의 기법에 따른 적용사례
기법 |
기본 개념 |
적용 사례 |
|
데이터간의 연관규칙을 찾아내는 기법 |
백화점, 잡화점 웹페이지의 디자인 |
|
순서대로 일어난 데이터를 분석해 빈도수가 높은 순차 패턴을 찾아내는 기법 |
홈쇼핑 회사 학습지 회사 병원진료 |
|
기존의 분류된 데이터를 이용, 새로운 데이터가 어느 클래스에 속하는지 예측하는 기법 |
슈퍼마켓 새로운 의약품 개발 전자상거래 사이트 |
|
전체 데이터의 분포나 패턴 등을 찾아내는 기술 |
백화점 고객 관리 |
|
소수 또는 일부를 찾아내는 기술 |
신용카드 도둑 시스템 불법 침입자 |
-
의사 결정 나무
-
신경망
-
동시발생 매트릭스
-
Data Mining 활용분야
-
데이터베이스 마케팅(Database Marketing): 목표 마케팅(Target Marketing), 고객 세분화(Segmentation), 고객 성향 변동 분석(Churn Analysis), 교차 판매(Cross Selling), 시장바구니 분석(Basket Market Analysis)등에서 주로 이용
-
품질개선: 병원과 의료보험 조합 등에서는 병원에서 발생하는 사망, 불필요한 장기입원 및 의료비의 과다청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, 제조업체에서는 제품보증청구를 유발시키는 불량품 감소를 통한 이윤 증가에 중점
위험관리(Risk Management), 망 관리(Network Management), 수요 및 판매 예측(Forecasting)등에 활용 -
신용평가: 은행, 금융서비스, 저당권보험(담보부보험), 소매(할부판매)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
-
부정행위의 적발: 은행에서는 발견된 패턴을 이용하여 신용카드 거래사기 및 불량수표를 적발할 수 있고, 통신 회사에서는 진화 카드 거래 사기를 방지하며, 보험 회사에서 하는 허위 및 과다 청구를 예방
-
이미지분석: 천문학, 문자인식, 의료진단, 방위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
-
통신회사: 확보된 고객의 이탈방지 하고 장기간 유지하기 위해 서비스 해지 가능성이 높은 이탈고객을 예측(chum모델링)
-
금융:
-
훔친 신용카드 사용의 패턴 탐지
-
신용카드를 다른 은행으로 옮길 가능성이 높은 고객의 예측
-
과거의 주식시장의 역사를 보고 이익을 볼 수 있는 주식 투자 방법의 발견
-
-
신용카드 회사:
-
불량고객을 가려내는데 이용
-
분식이나 도난 카드에 의한 사고 방지
-
-
Seri 펌
반응형
'경영 전략 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지속 가능 경영(Sustainability Management) (0) | 2009.06.03 |
---|---|
위기 관리 : 위기에 대한 준비,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(0) | 2008.08.17 |
BPR (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) (0) | 2008.08.17 |
Balanced Score Card(BSC)란 (1) | 2008.08.14 |
Valuation - Measuring and Managing the Value of Companies - Tom Copeland,Tim Koller and J.Murrin (0) | 2008.08.13 |